(생명보험회사) 3조 4,544억원으로, 전년 대비 3,404억원(10.9%) 증가. 저금리 등으로 투자영업이익이 감소하였으나, 보증준비금전입액 감소와 저축성보험 판매 증가로 보험영업손익이 개선(+2조 176억원).
(손해보험회사) 2조 6,262억원으로, 전년 대비 4,024억원(18.1%) 증가. 코로나19 영향 등으로 자동차보험 및 장기보험 손해율이 하락하여 보험영업손익이 개선(+1조 6,558억원)된 데 주로 기인.
(생명보험회사) 119조 5,872억원으로, 전년 대비 2조 3,248억원(2.0%) 증가. 저축성(+3조 1,050억원), 보장성(+1조 7,689억원)은 증가하였으나, 변액(△4,632억원) 및 퇴직(△2조 859억원)은 감소.
(손해보험회사) 102조 3,172억원으로, 전년 대비 6조 7,294억원(7.0%) 증가. 장기(+2조 8,246억원), 자동차(+2조 451억원), 일반(+8,188억원) 등 全상품군의 원수보험료가 증가.
’20년 총자산이익률(ROA)과 자기자본이익률(ROE)은 0.48% 및 4.45%로 전년 대비 각각 0.03%p, 0.04%p 상승. ’20년말 총자산은 1,321.1조원으로 전년말 대비 82.2조원(6.6%) 증가. 자기자본은 143.1조원으로 이익잉여금 및 매도가능증권 평가이익 증가 등으로 전년말 대비 13.1조원(10.1%) 증가.
’20년 보험회사의 당기순이익(6.1조원)은 보증준비금전입액 감소(생보사), 일시적 손해율 하락(손보사) 및 전년도 실적 부진 기저효과(생·손보사)등에 따라 개선되었으나, 최근 3년 평균(6.8조원)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
보험영업손익은 대면 영업 제한, 소비여력 감소 등으로 성장성 둔화 우려가 있고, 코로나19 진정시에는 손해율도 재상승할 가능성. 투자영업이익은 主수익원인 이자수익이 감소*하는 가운데, 대체투자자산 등의 손상 리스크가 상존하여 수익성 개선 여부가 불투명.
※ 본 자료는 금융감독원(http://www.fss.or.kr/fss/kr/promo/bodobbs_list.jsp) 보도자료를 바탕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상세한 내용은 금융감독원 보도자료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