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은 무엇일까?
채권(債빚 채, 券문서 권)은 말 그대로 '빚문서'를 의미해요. 특정 일자까지, 몇 %의 이자를 지불하며, 만기일에 원금을 돌려주겠다는 내용을 담은 차용증서죠.
채권은 아무나 발행할 수 있는 건 아니고, 발행자격을 갖춘 기관을 법으로 정하고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정부, 공공기관, 은행, 주식회사 등에서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채권을 발행해요. 발행기관에 따라 국채, 지방채, 회사채 등으로 불리죠.

어떤 목적을 위해 자금이 필요한 기관에서 '채권'을 발행하면 여러 투자자들이 돈을 주고 이 채권을 사게 되는데요. 이때 채권을 발행한 기관을 채무자, 그 소유자를 채권자라고 해요. 채권은 원리금 상환 기간이 미리 정해져 있는 증권으로, 채무자는 비교적 장기간 거액을 조달해 사용하는 대신 채권자에게 약정된 이자를 지급하고, 만기 때 원금을 상환해야 하죠.
TIP. 채권의 구성요소
- 액면가 : 채권의 1장의 가격으로, 만기 시점에 채권자에게 상환해야 할 금액을 말해요. 채권의 액면가는 변하지 않지만 채권 시장에서 채권이 거래될 때에는 더 비싸게 또는 더 저렴하게 거래될 수 있어요.
- 이자율(표면금리) :어떤 주기로 액면가 대비 몇 %의 이자를 지급할 것인지를 의미해요.
- 만기일 : 채무자가 채권의 최종 소유자에게 원금을 지급하는 날짜예요.
채권 투자를 통해 수익을 얻는 방법
1) 채권은 발행 시 약정된 '이자'를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어요.
채권의 이자율은 채권을 발행한 기관의 신용등급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요. 발행기관의 신용등급이 높으면 채권 금리가 낮아지고, 반대로 신용등급이 낮으면 채권 금리도 높아지게 돼요.
수익에 따라 배당정책이 달라지는 주식과 달리, 채권은 수익 발생여부와 관계없이 매 기간마다 약속된 이자를 지급해야 해요. 때문에 채권은 주식보다 안정적으로 수익을 낼 수 있어 변동성이 큰 불안정한 시기일수록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진다고
2) 채권 역시 주식처럼 '시세차익'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는데요.
채권은 자금이 필요한 곳에 돈을 빌려주고 이자와 원금을 받는다는 점에서 '대출'과 비슷해 보이지만, '매매'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대출과 큰 차이가 있어요.
채권은 잔존기간(만기까지 남은 기간) 동안 채권 시장에서 매매가 가능한데요. 고정된 액면가와 달리 채권 시장 내 가격(시장가)은 수요와 공급, 시장금리, 발행기관의 신용 변화 등에 따라 변동이 될 수 있어요. 즉, 채권을 보유하다가 가격이 오르면 팔아서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는거죠.
